본문 바로가기
인물 정보

미스터트롯의 리듬왕 영탁이에 대한 정보 15가지

by 뱀찬 2021. 7. 8.
반응형

본명이 박영탁인 영탁은 1983년생으로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3옥타브를 넘나드는 고음과 정확한 기교 그리고 리듬까지 갖춘 소유자이지만 '내일은 미스터 트롯'에 출현하기 전까진 긴 무명을 가진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였다. 그러나 가수의 길을 포기하지 않고 달려온 영탁은'내일은 미스터 트롯'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현재 자신의 기량을 맘껏 드러내 현재의 인기를 만끽하고 있는 '영탁' 그에 대해 알아보자.

 

 

 1. 영탁의 작은 아버지의 딸인 사촌 여동생 또한 음악을 한다고 한다. 이름은 박은지이며 1995년생으로 김희재와 동갑이다. 

 

2. 과거 JTBC에서 방영한 히든싱어 휘성 편에서 참가자로 출현한 적이 있다. 여기에 출현해서 3라운드까지 올라갔지만, 당시에는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미스터트롯 방영 이후 꽤나 알려지게 되었다. 본래 R&B 보컬 가수 출신이었기에 굉장히 잘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 트로트 가수로 전향하기 이전 유희왕, 보노보노, 스펀지밥, 포켓몬스터 썬&문 등등 여러 애니메이션 ost에도 참여했었다고 한다. 

 

4. 트로트 가수로 성공했기에 트로트 가수로써의 면모만 부각되어 있는데, 사실은 발라드 가수였기에 발라드 노래도 잘 부를 뿐더러 랩도 잘한다고 한다. 

 

5. 임영웅과는 '내일은 미스터트롯' 출연 전부터 친했던 사이라고 한다. 영탁이 과거에 초대가수로 갔던 행사에 임영웅도 있었는데, 대기시간 동안 둘이 함께 있을 때 영탁이 임영웅에게 먼저 친해지려 대시(?)를 했다고 한다. 해당 이야기는 '이수영의 12시에 만납시다'라는 라디오에서 에피소드가 나왔다. 

 

6. 아직 운전면허가 없는데 이유는 혹시나 음주운전을 하게 될까봐 걱정되서라고 한다.

 

7. 한 번은 한 라디오에 '막걸리 한잔'의 원곡 가수인 강진과 함께 출현했었다. 강진은 영탁의 맛깔스러운 노래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영탁에게 덕분에 이 곡이 많이 알려졌다 하며 고마워했다. 

 

 

8. 또한 강진은 영탁이 고정 출현하고 있는 '사랑의 콜센터' 20화에 출현했는데, 영탁과의 일대일 매치에서 영탁의 대표곡 찐이야를 부르기도 했다. 이에 영탁은 선배의 무대에 감동하여 눈물까지 보였는데 "앞으로 제가 잘 걸어 나가겠다"는 말까지 해 훈훈한 분위기를 볼 수 있었다. 

 

9. 영탁의 어머니는 무속인이시다. 영탁이 고등학생 시절 어머니가 교회를 다니고 있는데도 자꾸 신령님이 보였는데, 그때 영탁이 3층 난간 추락사고를 당해 대수술을 치르게 되었고 이에 무속인을 찾아가 법당을 차리고 무속인이 되기로 했다고 한다. 

 

10. 또한 영탁의 어머니는 공무원 생활도 오래 하셨었는데 그러다 보니 영탁이 가수보다는 안정적인 지업을 택하길 바랬다고 한다. 그런데... 또 신령님은 "전 국민이 아는 가수가 될 거니까 놔두라" 고 했다고...

 

11. 영탁의 아버지는 현재 뇌경색으로 투병 중이신데 미스터 트롯에서 아들의 모습을 보고는 건강상태가 호전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아무리 스케줄이 바빠도 아버지와는 하루에 꼭 서너 통 정도는 통화를 한다고... (효자다...)

 

12. 그림 실력이 좋다고 한다. 어릴 적 시간만 나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자주 그렸던 그림은 당시 유행하던 드래곤볼 같은 만화들을 그렸다고 한다. 또한 NBA 선수의 스틸 사진도 그렸는데, 그 묘사 실력이 좋았다고 한다. 

 

13. 임영웅과는 다르게 춤 실력이 좋다고 한다. 비보잉 동작도 얼추 한다고 한다. 그러나 영탁 본인은 계속 자신이 몸치라고 주장한다. 이유는 자신의 춤은 아저씨 느낌이 많이 나서 잘 추는 춤이 아니라고...

 

14. 위 내용들을 보면 알다시피 친화력이 좋은 성격이다. 동갑인 김희철과도 77억의 사랑 출현 당시에 바로 친구가 되었으며, 히든싱어 휘성 편에 출현했던 모창자들과도 현재까지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라고 한다. 

 

 

15. 배려심이 많고 동생들을 잘 챙겨준다고 한다. 임영웅, 신인선, 김수찬에게 우리형이라 불린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